2022년 9월 새로운 신규 상품과 로직으로 상품 1개를 등록하고

바뀐 스마트 스토어 상위 노출 공식으로 일 매출 50만 원 돌파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

2주만에 일 매출 50만 원을 돌파할 수 있었던 마케팅 방법을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7일만에 상위 노출한 비법에 대해 영상을 올린 적 있습니다.

이것만 알면 상위노출 껌이라고 했던 영상이네요.

(2022년 하반기에 로직이 바뀌었기 때문에 오늘 내용 모르면 안 됩니다.)

 

유튜브 영상이 도움이 됐는지 '네이버 상위노출' 검색해도 2등이네요.

1. 적합도 - 고객이 검색 시 원하는 상품이 나오는가?

2. 인기도 - 클릭이 많이 되는가?

3. 신뢰도 - 상품 정보가 정확한가? / CS, 배송은 잘하는가?

이 3가지를 중점적으로 말씀드렸었습니다.

 

이건 뇌피셜이 아니라 네이버 공식에서 말해주는

스마트스토어 상위 노출에 관련된 seo가이드예요.

그렇다면 불과 6개월 전인 2022년 7월 하고

뭐가 달라졌길래 순위에 영향이 생겼을까요?

 

바로 2번 인기도에 관련해 많이 달라졌습니다.

이전에는 트래픽으로 의도적으로 클릭수를 높이면

상위 노출에 갈 수 있었습니다.

물론 지인 구매를 통해 실구매까지 일어나면 상위 노출 점수에 좋았었죠.

 

원래는 [클릭수]에 중점을 두는 인기도 점수였지만

이제는 [구매 전환율]에 중점을 두는 인기도 점수가 됐습니다.

 

현재 쿠팡에게 쇼핑 부분 1위 자리를 뺏긴 네이버가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쿠팡은 [빠른 배송]이라는 포지션을 통해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상품의 질과 퀄리티라는 [신뢰성]은 부족한 상태예요.

그래서 구매하는데 크게 고민하지 않는 [저관여도] 생필품에 관해 쉽게 구매가 일어나요.

 

하지만 조금이라도 고민이 들어가는 [고관여도] 상품인

인테리어 용품, 전자제품, 의약외품 등은 구매가 잘 일어나지 않아요.

쿠팡과 네이버 '사무실 책상' 키워드 1~3위를 비교해봤습니다.

쿠팡은 저렴한 pb(자체 상품) 말고는 리뷰수가 적고 로켓 배송 비율도 적습니다.

반면 네이버는 5만 원 대 가격대지만 리뷰 건수가 쿠팡의 몇 배가 되죠.

의약외품인 '안면홍조 크림'을 검색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면 네이버는 [빠른 배송]도 따라가긴 하지만 쿠팡처럼 적자를 보고 접근하긴 힘들 거예요.

이미 어느 정도 이뤄둔 초록창이라는 [신뢰성]을 밀고 나가는 전략을 사용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죠.

 

결국 네이버가 원하는 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 한 번으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마트 스토어 상위 노출 공식은

2022년 9월 이후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1. 적합도 - 고객이 검색 시 원하는 상품이 나오는가?

2. 인기도 - 클릭 대비 구매전환이 높은가?

3. 신뢰도 - 상품 정보가 정확한가? / CS, 배송을 잘하는가?

 

그렇다면 2주 만에 일 매출 50만 원을 돌파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클릭 대비 구매전환율은 신뢰성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신뢰성]이라는 단어가 나온 이유는 뭘까요?

클릭수를 높이면 상위 노출이 된다.

그리고 그 클릭수는 의도적인 트래픽으로 높일 수 있다. 하는 건 네이버도 알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네이버 본진인 톡톡에서 마저 이렇게 트래픽 업체가 판치고 있었으니까요.

네이버는 트래픽을 없애고 [본질]에 가깝게 바꾸는 방법을 고민했을 겁니다.

*본질 : 찐 소비자가 좋은 상품을 만나 거래가 이루어지는

 

그래서 나온 게 클릭 대비 구매 전환율이고

평균 구매 전환율이 5~10% 정도 나오니

클릭이 많은데 구매가 이 정도도 안 나오면 안 된다는 거죠.

 

'사무실 책상'이라는 상품을 올리고 판매를 하는데 하루 1000명이

상세페이지를 읽습니다. 하지만 구매는 1~2명밖에 안 해요.

이상하지 않나요?

 

물론 상세페이지 문제일 수 있지만 이것마저 사실 구매전환과

[신뢰성, 적합도]에 포함이 된다는 거죠.

 

그래서 이젠 의도적으로 트래픽을 넣을 생각을 하면 안 되고,

구매 전환율을 끌어 올릴 생각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본질인 마케팅 찐 유입을 일으키고 설득을 통해

구매전환률을 높여야 한다는 겁니다.

 

저는 일 매출 50만 원을 돌파하기 위해

지식인 마케팅을 진행했습니다.

내부 유입뿐만 아니라 외부 유입은 수없이 많아요

그중 어떤 마케팅 채널과 맞는지 확인해보니 지식인이었습니다.

 

이건 상품 판매 경험, 마케팅 채널 경험이 얼마나 있냐에 따라

보는 시각이 다를 수밖에 없어요.

 

지식인 마케팅 웹사이트 채널 결과입니다.

스마트 스토어 - 통계 - 마케팅 분석 - 웹사이트 채널에서 볼 수 있어요!

100% 찐 유입을 일으킨 거죠.

물론 이거 말고도 3만 넘는 키워드들을 1p에 올려놔서 일 매출 50만 원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유입은 하루 29 나왔는데 구매가 3건밖에 없어?라는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지만

마케팅을 조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아실 거예요.

 

더 자세한 마케팅 방법을 알고 싶으면 브월천 클래스를 확인하세요.

 

무엇보다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건

리뷰수와 상세페이지라고 생각합니다.

리뷰수가 100건이 넘음에도 구매전환이 5% 아래면

상세페이지를 수정해야 합니다.

 

리뷰수가 100건이 안된다면 다양한 프로모션 이벤트를 해보세요!

스마트 스토어 상위 노출도 중요하지만 이건 내부 유입이고

외부 유입을 통해 구매를 일으켜 보세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